|
충정공 영의정의
발자취
1.
조선조 500년 국정을 논하시던 근정전 내부


칠보향로
2.
근정전 및 수비대 교대식


3.
의전행렬 때 쓰시던 정일품 자리

4.
근무하시던 의정부(議政府) 터(址)

5.
육조가 있던 터(형조, 예조, 이조, 병조, 공조, 호조)


6.
연회를 베풀던 경회루와 내부

|
戊寅
世祖 七年 西紀 一四六一年 六月九日
慶會樓에서
宴會時 領議政 鄭昌孫 王의 詩에 和答
和韻
(화운에서)
(七言四律)
一人垂拱撫東邦
澤及耆英荷寵光
燦爛章褒老德
氤氳宮錦襲天香
黃封瀲灩恩榮洽
白髮簫疎舞蹈忙
千載三韓眞罕遇
同祈聖算永無窮
임금께서
조용히 東邦을 다스리니 은택이
元老에까지
恩寵 입었다미
燦爛한
임금님의 글 元老의 德 포상하시고
華麗한
내리신 비단 香氣 자욱하였네
黃封술
넘쳐흘러 恩寵과 榮光 洽足한데
白髮은
성성하여 聖世에 노래하며 춤추네
一千年
歷史에 참으로 드문 만남인데
다같이
聖壽받어 길이 無窮하기를
|







7.
기로소터(耆老所址) - 정이품이상 70세 이상 문신

|